자기애는 자신을 사랑하고 인정하는 감정 입니다.
건강한 자기애는 자신을 존중하고, 스스로에게 필요한 관심을 기울이는 것 입니다.
이러한 자기애는 사람들이 자신감을 키우고, 행복하게 살아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자기애는 나르시시즘이라는 정신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나르시시즘은 정신과 의학적인 용어로, 자신을 과도하게 중요시하고, 다른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싶어하는 성격장애를 의미 합니다.
나르시시즘은 상대방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타인에게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주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건강강 자기애와 나르시즘의 차이를 구분하고, 정신과 의사의 역할을 통해 나르시시즘의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주는 내용을 담을까 합니다.
나르시시즘의 특징과 위험성
나르시시스트는 자기 중심적이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과 필요를 무시하며, 스스로에게만 관심을 기울입니다.
이런 행동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악화시키고, 나르시시트 스스로도 고통을 겪게 됩니다.
나르시시즘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1.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의 욕구와 필요를 다른 사람들보다 중요시 합니다.
이 때문에 그들은 타인의 감정과 요구를 무시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주변 사람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나르시시스트는 완벽주의자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모습을 최상으로 보여주고자 노력하며 자신의 결점을 인정하기 어렵습니다. 이런 행동 때문에 자주 스트레스와 불안을 겪게 됩니다.
3. 나르시시스트는 감정적인 불안정이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가치를 다른 사람들의 인정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대방의 칭찬과 인정이 없으면 불안과 우울감을 느낄수 있습니다.
이로인해 그들은 다른 사람들과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어렵게 됩니다.
나르시시즘의 함정 벗어나기
나르시시즘의 함정에서 벗어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심리상담사의 도움을 받아 나르시시즘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건강한 자기애를 발전시키는 노력을 통해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시도해 볼 수 있다.
1. 자기 인식을 키우세요.
자신의 감정, 생각, 행동 패턴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나르시시즘의 특징이 나타날때 그것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세요.
이를 통해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고 건강한 자기애로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2. 타인의 감정과 요구에 귀 기울이세요.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그들의 감정과 요구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나르시시즘의 함정에서 벗어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건강한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3. 자기비하와 완벽주의를 포기하세요.
자기비하와 완벽주의는 나르시시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스스로를 너무 엄격하게 평가하거나 완벽함을 추구하기보다는, 자신의 결점과 불완전함을 받아들이며 성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르시즘 예방법
나르시시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찍부터 건강한 자기애를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통해 나르시시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1. 자기 존중과 자기 관심을 발전시키세요.
자신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것은 건강한 자기애의 기초입니다.
이를 위해 스스로에게 필요한 시간과 공간을 주고 자신의 감정과 요구를 인식하며 적절한 대처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타인과 상호작용에서 경계를 설정하세요.
타인과 관계에서 적절한 경계를 설정하는 것은 건강한 자기애와 나르시시즘의 차이를 만들어 냅니다.
이를 위해 자신의 감정과 요구를 존중하면서도, 타인의 감정과 요구도 동시에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나르시시즘은 자신과 타인에게 해로운 정신장애 입니다.
이를 바로 인식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리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나르시시즘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건강한 자기애를 발전
시키는데 노력해야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서울병원에서 발표한 한국인 건강체중 (0) | 2023.06.15 |
---|---|
가슴 성형후 모유수유 아기와 산모 모두 괜찮을까? (0) | 2023.05.11 |
질병관리청에서 알려주는 알레르기 질화 예방 수칙! (0) | 2023.05.09 |
아로마향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0) | 2023.05.04 |
손에 사는 세균 얼마나 될까? (0) | 2023.05.03 |
댓글